색채이론(2)
-
[디자인 이론 공부하기] Design, Culture : 색채와 문화코드_국가별 색채 심리, 색채 마케팅, 색의 역발상
디자인 이론 공부하기 Design, Culture : 색채와 문화코드 색채와 자연 환경 지역 색, 풍토색 국가, 지역의 특색을 나타내는 대표 색, 그 지역에서 생산되는 재료의 색, 기후 풍토에 맞는 재료의 색, 기후 풍토에맞는 재료의 색, 지역의 환경 색에 조화되는 색은 오랜 세월에 걸쳐 형성 1. 지역색 (Local Color) 특정 지역의 하늘, 자연광, 습도, 자연물 등에 의해 자연스럽게 어울리고 선호되는 색 국가나 지방, 도시의 특성과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역할 같은 색이라도 각 지역이나 국가마다 그 의미나 상징과 사용처가 다름 2. 기조색 (Base Color) 배색에 있어 전체적인 분위기를 형성하는 색조로, 환경색채를 분석할 때 그 지역을 대표하는 몇 개의 색상을 먼저 추출해내는 것을 의..
2021.03.24 -
[디자인 이론 공부하기] Design, Culture : 색채 이론_색채 계획의 중요성
디자인 이론 공부하기 Design, Culture : 색채 이론 [생각] 색채란 무엇인가? Q. 색차란 무엇인가? Q. 우리는 어떻게 색채를 보는가? Q. 색채학에 물리학자인 뉴턴이 등장하는 이유는? Q. 무지개는 왜 빨주노초파남보일까? Q. 하늘의 색이 시시각각 달라지는 이유는? Q. 하늘의 색이 시시각각 달라지는 이유는? Q. 신호등의 정지신호는 왜 빨간색일까? Q. 겨울엔 빨간 코트를, 여름엔 마린룩을 즐기는 이유는? 색채의 비밀 색채란? 물질이 지닌 특성이며, 빛 우리는 어떻게 색채를 보는가? 색지각의 3요소인 광원, 물체, 눈을 통해 볼 수 있음 - 색채학에 물리학자인 뉴턴이 등장하는 이유 1667년 프리즘을 이용한 분광실험을 통해 빛이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색의 7..
2021.03.23